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
git

(5)
[ reset 복구하기 ] 모든 작업내역 확인하기. 명령어를 입력한다. (Reference Log) $ git reflog 복구할 작업 지점의 head 번호를 확인한다. 원하는 지점으로 되돌린다. 명령어를 입력한다. $ git reset --hard HEAD@{숫자} ( 숫자 부분에 복구지점의 head번호를 입력한다. ) 실행 결과
[ 원격저장소 reset ] 로컬 저장소 reset 하기. 로컬 저장소에서 원하는 버전까지 reset한다. 원격 저장소에 강제로 push 하기. 터미널을 실행한다. 명령어를 입력한다. $ git push -f origin master orgin은 원격 저장소를 뜻한다. master는 메인 브랜치를 뜻한다. -f는 강제 실행 옵션이다.
[ Ignore 설정 ] 프로젝트별 설정 .gitignore 파일 만들기. 프로젝트 폴더에 gitignore확장자로 파일을 생성한다. 파일에 ignore 설정내용 입력하기. https://www.toptal.com/developers/gitignore ignore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사이트를 활용한다. 설정내용 분석하기. 모든 경로의 특정파일 제외 : 파일명.txt 현재경로의 특정파일 제외 : 파일명.txt 특정경로의 특정파일 제외 : 폴더명/파일명.txt 특정경로의 모든파일 제외 : 폴더명/ 모든 경로의 확장자 같은 모든 파일 제외 : txt ignore설정 무시할 파일 : 파일명.txt
[ Ignore 설정 ] Sourcetree 전체에 설정 Sourcetree 옵션에 ignore설정 파일을 등록한다. 전역 무시 목록에 ignore설정 파일을 등록하면 Sourcetree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커밋할 때 제외된다.

반응형